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우물설계시 skin effect의 영향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우물설계시 skin effect의 영향 평가
학술지명 대한지질학회 저자 김현지,류상훈,김규범,최두형
발표일 2010-10-27

일반적으로 우물 굴착시 회전식 또는 충격식 착정기를 이용하며 암반 및 충적층을 굴착하여 대수층을 개발하며, 굴착시 굴착을 돕기 위한 윤활제, 비트의 냉각, 우물 공벽의 안정화 등을 위해 시추이수(Mud)를 사용한다. 우물 설계시 대수층의 다짐작용 등의 교란작용 또는 시추이수가 우물 스크린을 통해 주변대수층으로 들어가 공극을 막거나, 모래 또는 자갈 등의 여재를 채울 경우 우물 주변으로 스킨 존(Skin zone)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스킨 존은 우물 개발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주며, 스킨존의 영향으로 대수층의 수리전도도가 감소하여 우물 개발에 악영향을 줄 경우 이를 (+)스킨(positive skin)이라하고, 대수층의 수리전도도가 증대되어 우물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경우 (-)스킨(negative skin)이라한다(Chen et al., 2006). 
   오실레이터 공법으로 설계된 우물에서 양수시험을 실시하였고, Earlougher(1977)가 제안한 식에 의해 스킨계수를 산정해 본 결과 창녕증산지구의 모래여과는 -1.315, 자갈여과는 -1.175, 함안이룡지구는 -1.326, 창녕남지지구는 -1.318이다. 이를 바탕으로 Kroening et al.(1996)이 제안한 식에 의해 영향반경을 산정하였고, 대수층의 수리전도도(K)와 스킨존의 수리전도도(Ks)가 같을 경우 즉, 오실레이터 공법이 아닌 일반적인 관정개발 방법인 바버드릴이나 오거 방법으로 우물을 개발 하였을 경우를 고려하여 양수량을 산정 하였다. 오실레이터 공법으로 설계된 우물에서 스킨 계수의 영향을 고려한 결과, 창녕증산지구의 모래여과 지역은 약 20%, 자갈여과 지역은 약 34%, 함안이룡지구는 약 13%, 창녕남지지구는 약 11%의 양수량 증대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인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단의 연구비지원(과제 번호 3-4-3)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