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국내 2차원 동적변형해석에 의한 필댐 내진성능평가 고찰- 평면도상 상하류 사면 비대칭 댐 평가시 고려사항 -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국내 2차원 동적변형해석에 의한 필댐 내진성능평가 고찰- 평면도상 상하류 사면 비대칭 댐 평가시 고려사항 -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하익수
발표일 2010-10-21

 현재 국내 필댐 내진성능평가는 한계평형법에 기초한 등가정적 사면안정해석과 동적변형해석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건설교통부, 2005). 동적변형해석에 의한 방법에서는 설계지진 규모의 파형을 입력지진으로 한 2차원 또는 3차원 동적변형해석을 수행하여, 해석결과로 산정된 댐 마루에서의 침하량이 댐 높이의 1%이하이면 내진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건설교통부, 2004).
   3차원 동적변형해석은 댐과 댐이 위치한 기초지반과의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할 수 있는 반면, 해석요소수 증가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대부분의 동적변형해석은 2차원 동적변형해석을 적용하고 있다. 동적해석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2차원 수치해석상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최대단면을 사용하는 2차원 동적변형해석의 경우, 댐과 기초간 기하형상 등 3차원 효과에 의한 댐 거동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2차원 동적변형해석에 의해 필댐의 내진성능을 평가함에 있어서, 평면도상 댐 축에 대해 상류사면과 하류사면의 기하형상이 비대칭인 댐에 대한 3차원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댐 정상부에서의 침하 발생 양상을 대칭 단면을 갖는 댐 해석 결과와 상호 비교 ? 분석하여, 비대칭 상하류 기하형상 단면을 가지는 필댐에 대한 내진성능을 평가할 때, 고려되어야 할 점을 약술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