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댐 인공습지 특성에 적합한 최적관리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
---|
학술지명 한국생물과학협회
저자 김호준,정철원,김세원,최희경
발표일 2010-08-20
|
장흥댐 인공습의 경우 습지 운영상 문제점이 지적되어 다양한 연구수행을 통해 인공습지 효율개선 및 최적운영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인공습지 조성 후, 장흥댐 3개 인공습지에 대한 수질정화기능 평가결과, 유기물 제거효율이 매우 낮게 나타났고, SS의 경우 처리효율이 조사시기별로 변동이 심하게 나타났으며, 영양염류는 비교적 양호한 처리능력을 보이는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댐 상류유역 특성상 습지로 유입되는 유기물 농도가 매우 낮고, 유입수내 C:N:P 비율이 불안정하고, 유기물 분해를 위해 필요한 미생물 다양성이 낮기때문으로 사료된다. 반면 약 5년정도 운영되고 있지만 인에대한 처리능력이 일정부분 나타나고 있는것으로 보아 습지내부에 오염물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지 않은것으로 판단된다. 식생관리측면에서 보면 수위관리가 시기별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않아 초성초기 식생분포와 큰 차이를 보이고있으며, 식생이 과도하게 밀집해있고 일부구간에서는 고사체에 의한 2차오염이 우려되어 향후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해서는 개체밀도 조절, 수위관리 및 적정한 식물배치등이 고려되어할 것이다. 습지내 물 흐름조사결과 물 흐름이 균등하지 않고 일부 수역 및 수로를 통해 빠르게 유출되는 현상이 나타나 물 흐름개선을 통한 수질정화능력을 향상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수량 및 퇴적물관리도 병행하여 인공습지의 최적 운영관리방안 수립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