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수환경 유해물질 저감을 위한 타블렛 흡착제의 적용성 평가-2 : 흡착재질별 유기화합물 제거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수환경 유해물질 저감을 위한 타블렛 흡착제의 적용성 평가-2 : 흡착재질별 유기화합물 제거 특성
학술지명 한국환경분석학회 저자 이화정,김윤석,은희수,이경희,최재원
발표일 2010-05-09

퇴적토에서 하천으로 용출 가능성이 있는 유해물질 중에서 유기오염물질을 대상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경감 기술로서 타블렛형 정화제를 제작하여 종류별, 시간별 제거 특성을 고찰하였다. 사전 연구에서 선정한 항목은 bromoxynil, Lindane, chlorothalonil, triallate, alachlor, fenitrothion, metolachlor, propachlor, parathion, heptachlor epoxide, chlordane, endosulfan, dieldrin, 4,4'-DDT, methoxychlor, dicofol, HCB, heptachlor, Mirex, fenvalerate, benzo(a)pyrene이며 대조군을 포함하여 0.2L의 증류수에 50 ㎍/L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제작한 타블렛 정화제 (70%제올라이트 및 25%활성탄+25%제올라이트 2종)를 이용하여 21항목에 대한 흡착 시험 구간을 0시간, 5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으로 설정하였고 타블렛 정화제 종류별로 각각 10mL씩 채취하여 GFF로 여과 후 액-액 추출 및 농축 후 고분해능 질량분석장치에서 정량하였다. 
시험 결과, 적용한 모든 화합물에 대해 복합 정화제(25%활성탄+25%제올라이트)가 단일 정화제(70%제올라이트)보다 우수한 흡착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개 화합물을 제외하고 5분 채취 구간의 시료에서 대부분 검출한계 근처까지 제거되는 특성을 보였다. 특히 전자의 결과는 대부분 활성탄에 의한 흡착이 주도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제올라이트 단일 정화제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진적 제거 특성을 보였으며 최종 3시간 경과 구간에서 33~88%로 다양한 경감 특성을 보였다. 이 결과들은 중금속 흡착 시험결과와 상반되는 제거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활성탄은 유기화합물, 중금속은 제올라이트로 용이하게 유력하게 제거되는 경향들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타블렛 정화제 제작은 적용 현장의 오염 특성에 따른 맞춤형 제품의 디자인 및 효율적인 현장 적용 기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예비 시험 결과를 통해 퇴적토에서 하천으로의 입자 동반성 유기오염물질의 유출 상황에 대비한 타블렛 정화제의 긴급 방제 적용성이 시사되었으며 향후 실시료인 퇴적토 적용 시에 최적 투입 농도와 경제성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