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병렬화 기법을 적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병렬화 기법을 적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 개발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허영택,박진혁
발표일 2009-10-22

최근 GIS 및 인공위성을 이용한 토양 및 지형에 대한 정보구축이 진행되어 유역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각종 수문매개변수의 수집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컴퓨터의 기능 향상과 수치모의의 기술
향상으로 인해 강우와 지형 및 토양특성의 공간분포와 비균질성을 고려하여 유역유출을 계산할 수 있는 물리적기반의 분포형 유출모형에 대한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다(박진혁과 허영택, 2008a). GIS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다양한 공간자료들을 통합하여 다루는 것이 가능해졌고, 수량과 수질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충실히 반영하여 최근에 분포형 유출모형을 이용한 유역 수리?수질 모형의 구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박진혁과 허영택, 2008a). 분포형 유출모형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홍수기모형으로 격자기반의 레이더 강우와 연계한 연구와, 유역의 복잡한 지형특성이나 인위적인 영향 등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물순환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모형이 보다 복잡화되고 있고, 각종 물리적 수문매개변수 추출에 GIS를 도입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박진혁과 허영택, 2008b). 그러나 분포형 모형은 개념적 모형에 비해 많은 컴퓨터 용량이 요구되고, 계산수행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기 때문에 비교적 소유역을 대상으로 단기간의 강우사상에 대해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고 수치적으로 정확하며 다양한 기종의 슈퍼컴퓨터에서도 실행될 수 있도
록 호환성을 가지는 분포형 모형(K-DRUM; K-water hydrologic & hydraulic Distributed RUnoff Model)의 병렬코드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K-DRUM을 병렬화 할 때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파악
하여 최적병렬화 방법을 연구하였고, 용담댐을 대상으로 영역 분할을 통한 병렬화 계산의 적합성 및 효율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