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기후변화에 따른 안동?임하호 유역의 유사발생량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기후변화에 따른 안동?임하호 유역의 유사발생량 분석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김영성,김정열,안소라,이근상
발표일 2009-10-22

강우-유출에 의한 호내로 유입되는 고탁수에 의해 댐의 기능과 수자원으로서의 효용가지 저하 및 지역의 관광감소를 비롯한 경제활동 위축, 하류지역에 위치한 정수장의 처리비용 증가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고탁수의 호소내 유입은 그동안 자연적인 현상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강우강도 증가, 집중호우 빈발, 식생대의 변화와 유역관리 소홀 등 복합적 원인에 의해 점차 탁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후변화에 기인한 일련의 탁수 장기화 문제는 댐저수지 운영 및 하류지역의 피해를 유발하는 등 국토관리 차원에서 해결해야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간 정부의 대책은 탁수문제가 심각한 댐저수지 유역을 중심으로 사후대책 성격의 구조적 대책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탁수문제에 대한 댐저수지, 유역, 하천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국가적인 차원의 관리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며, 통합 유역관리차원에서 탁수발생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사전 예측적 탁수관리 대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탁수발생 원인분석 및 잠재가능성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수계별 탁수 관리방안 대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안동?임하호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하천유역의 수문 순환과 유사 거동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 진행시 미래 기후자료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오차보정과 CF(Change Factor) method를 이용한 Simple Downscaling 기법을 적용하였고, GCMs(MIROC3.2 hires) 모의 결과 값을 SWAT 모형에 연계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유출량 및 유사량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