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저유속 측정을 위한 기존 전자파표면유속계 기술적 사양 검토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저유속 측정을 위한 기존 전자파표면유속계 기술적 사양 검토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양재린,이근상,이현석,김영성
발표일 2009-10-22

  홍수유량측정의 정확성 확보, 홍수유량 측정시 현장실무자들의 안전,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고유속의 흐름으로 인한 기기 망실이나 손상의 우려 등을 개선하고자 1993년 물과 비접촉식으로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전자파표면유속계를 개발에 착수하였다. 1993년도에 시작된 전자파표면유속계의 개발은 1998년도까지 계속되어 1999년도에 이를 상품화를 성공하여 현재 공사내?외에 75대가 보급되어 홍수유량측정 실무에 이용하고 있다. 개발된 전자파표면유속계는 상품화한 이후 제작판매에 관한 협약을 민간업체와 맺어 이의 유지보수 및 신규 주문에 따른 제작을 하고 있으며, 이의 사용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2007년도에는 기존 이동식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실무자들의 유량측정환경이 열악함을 고려하여 각 측선마다 기계를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개선코자 유속을 0~20 °이내의 범위에서 편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편각측정 전자파표면유속계를 개발하였다.  
  홍수기 유량측정은 이동식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실용화 이래로 유량측정시 실무자와 유속계의 안전성, 측정방법의 간편성 및 측정유속의 정확성 측면에 있어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하천유량측정 실무자들은 평?갈수기 유량측정도 전자파표면유속계와 같은 비접촉식 방법이 적용가능한지의 문의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에서 1996년도 출범한 USGS의 Hydro-21 Committee에서는 유속 및 수위 측정 그리고 횡단측량까지 비접촉식 방법에 의한 무인 자료취득 목적으로 연구개발을 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Radar를 이용한 기기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시험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로 볼때 홍수기뿐만 아닌 평?갈수기를 포함한 비접촉식 상시유량측정기기의 개발은 차세대 유량측정이 추구해야할 방향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와 세계적 개발 추세에 맞추어 2008년도에 K-water연구원에서는 평?갈수기 유량측정을 비접촉식방법으로 적용하고자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성능을 개선하여 년중 사용가능한, 즉 유속 V<0.5 m/s와 0.5<V<10.0 m/s를 포함하는 전자파표면유속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모든 유속범위에서 유속측정가능한 저유속 전자파표면유속계의 개발을 위해서 기존에 개발된 홍수용 전자파표면유속계와 편각측정용 전자파표면유속계의 기술적 사양의 한계점을 규명함으로써, 저유속을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핵심요소기술을 파악하여 저유속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설계를 위한 자료로 이용하였다. 
   기존 전자파표면유속계가 저유속 측정에서 한계를 갖는 부분은 안테나의 송수신 격리도 및 위상잡음, 주파수 안정도 측면의 특성에 기인하고 있다. 홍수시 측정을 목적으로 개발된 장비이기 때문에 저유속은 고려대상에서 이를 제외하고서 개발을 하였으므로 당연한 결과이지만 이러한 기존 전자파표면유속계의 기기적 특성한계점을 명확히 분석하고 정밀검증시험을 수행한다면 성능개선의 기본자료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