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농업활동에 사용되고 있는 농약 중 주요 그룹의 하나인 유기인계 농약은 먹는 물 수질기준에 3개 항목이 포함되어 있으나 유사한 화학구조를 가짐으로써 생체에 유사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농약이 다수 존재한다. 또한 실제 수질시료에서는 모니터링 시기에 따라 ppt수준의 분포가 예상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성분 동시 분석을 고려한 고상추출방법을 비교하고 기기분석은 고분해능 질량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방법의 검출한계를 개선하고 하천시료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bromacil, cyanazine, dichlorovos(DDVP), metribuzin, phorate, propazine, trifluralin, edifenphos, molinate, iprobenfos(kitazine), diazinon, parathion- ehtyl, fenitrothion, parathion- mehtyl, simazine, chlorpyrifos등을 대상물질로 선정하고 고상추출방법은 RP-1, FL-PR, C18 (GL Science), Pesticide (Varian) , ENVI18, LRC-SI (Supelco) 등 6종을 선정하였으며 고상추출시스템은 Aquatrace 799 (GL Science)를 사용하여 회수율 및 변동계수를 비교하였다. 동일한 추출 조건에서 혼합표준물질을 첨가하여 분석한 결과, 회수율은 RP-1 > Pesticide > C18 > ENVI18 > FL-PR > LRC-SI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목적물질에 대해 80% 이상의 회수율을 보증하는 카트리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RP-1은 디클로로메탄에 아세톤을 5% 첨가한 조건에서 회수율이 추가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종의 유기인계 농약류에 대한 RP-1 및 GC-HRMS 분석방법의 MDL 범위는 2.2 - 10.6 ng/L 였다.
최적화한 분석방법을 2009년 5월에 채수한 하천 시료(n=56)에 적용한 결과, iprobenfos(kitazine), chlorpyrifos 등이 ng/L 수준에서 높은 검출율을 보였으며 그 외 일부 농약은 일부 지점에서 낮은 ng/L로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유기인계 농약류 및 유사계열 화합물의 수질모니터링에는 고상추출방법의 최적화와 더불어 동시분석법의 방법검출한계를 낮은 ng/L범위에서 정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