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하천유량증가가 하상저질토에 미치는 영향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하천유량증가가 하상저질토에 미치는 영향분석
학술지명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저자 이승윤
발표일 2009-10-30

댐의 증가방류에 의한 플러싱효과를 하상저질토 내의 수질영향인자를 중심으로 한 저질토 내부의 물질농도 분포변화의 양상을 증가방류 전?후로 나누어 조사하여, 하천 유량 및 수질변동에 따른 하상환경변화를 하상토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Ⅰ. 서 론
갈수기의 하천유량감소는 하천의 자정능력저하 뿐만 아니라 동절기 수온저하로 인한 하상토내 물질순환기능의 저하로 축적된 각종 영양염류 및 유기물질량의 증가가 동반되어 수질 및 하상환경의 악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댐의 갈수기 증가방류는 이러한 문제해결의 한 방안으로서 방류수량의 증가로 인한 유량증가와 플러싱효과로 인한 환경개선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Ⅱ. 연구방법
충주, 대청, 합천댐에서 실시된 2008년 3-5월에 걸친 증가방류기간 전ㆍ후 각 1회씩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측정지점 주변 수변지역 및 정체성 수역의 하상환경 및 하천저질 내의 수질영향인자 분포상황 분석을 목적으로 각 측정 지점 상?하류 200 m 범위에서 각 지점별 1-2개소(표층으로부터 5 cm 이상)의 표층부 토양을 코어상태로 채취하여  입도 분포 및 하상토 내 간극수를 채취하였다.채취된 간극수는 NH4-N, NO3-N, PO4-P에 대하여 농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나머지 하상토 시료로는 강열감량 및 입도분석을 실시했다.
Ⅲ. 결과 및 고찰
증가방류에 의한 유속ㆍ유량의 증가로 인하여 하상토 내부의 영양염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하상토 내 물질농도분포의 변화는 유속ㆍ유량의 증가에 의한 하상토로 부터의 영양염 플럭스의 증가 또는 증가방류기간 중의 하천수로부터의 공급량 변화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일부 저질 표층부에서 고농도로 검출된 유기물과 인의 경우는 하상토 표층 및 내부에 축적된 조류의 사체 또는 유기분해물(detritus)의 영향으로 보여진다. 조사구역의 하상토 내부환경은 저질층별 농도분포형태로 보아 저질표층을 통한 하천수로 부터의 영양염의 공급이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하천수의 수질 및 저질표층의 이화학적 환경이 하상토 내부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갈수기에 하상토 표면에 퇴적된 퇴적물의 부영양화에 의한 저질층에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증가방류와 같은 유속?유량의 증가가 가져오는 소류효과가 하상토 내부의 영양염류농도 저하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