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하수도 보급률로 인한 하수처리장권역에 미포함 된 지역에서 별도의 처리 없이 유입되는 질소, 인성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Ⅰ. 서 론
조사대상 지점인 금촌천에 대한 수질조사자료는 현재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금촌천에 비하여 곡릉천은 수질측정망을 통한 자료의 확보가 비교적 원활한 편이며 금촌천이 곡릉천과 합류되는 지점의 상ㆍ하류의 수질측정망 지점을 통하여 수질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Ⅱ. 연구방법
2009년 1월과 3월에 대상지점인 금촌천 하류를 중심으로 본류인 곡릉천과 삽교천 금촌천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점은 금촌천의 하류부에 해당하며, 실험구간을 중심으로 영향이 있는 곡릉천 본류 4개지점과 금촌천 1개지점, 삽교천 1개지점, 실험구간의 1개지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곡릉천은 BOD의 경우 수량이 적은 갈수기(10월~다음해 5월)에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는 경향이 있어, 이 시기에 대한 수질관리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지천인 금촌천의 수질이 모든 항목에서 매우 심각하게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유역은 2005년 이후, 금촌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시설 설치로 인해 수질개선이 기대되고 있으나, 파주시의 낮은 하수도 보급률로 인한 하수처리장권역에 미포함 된 지역에서 별도의 처리 없이 유입되는 질소, 인성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속적인 하수처리권역 확대 및 하수도보급율의 증대가 필요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