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댐의 제체 및 기초지반으로부터 침투량은 외부변형과 함께 안전관리상 가장 중요한 계측항목중 하나이다. 필댐의 설계단계 및 정밀안전진단시에는 제제 및 기초지반의 투수성을 파악하여 이 값을 입력 파라메터로 한 침투류해석으로 저수시의 설계 침투량과 임의 지점에서의 유속 및 동수구배를 구하여 실측 침투량과의 정량적 분석 및 침투류에 대한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댐의 저수위는 용수공급과 홍수조절 등의 기능에 따라 계절적으로 변화하며 이에 따라 필댐의 침투량도 변화한다. 현재 댐의 안전관리상 가장 중요한 계측항목인 침투량은 주요 영향인자로서 저수위 변화에 대한 급증경향에 따른 정성적인 평가방법이 이용되고 있고, 설계단계 및 정밀안전진단시에 침투류 해석에서도 저수위의 영향이 최대인 만수위 조건에 대한 정상상태 조건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저수위 변화에 따른 설계 침투량과 실측 침투량의 정량적인 분석은 수행되고 있지 못하다.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 결과 그림 3과 같이 포화 투수계수로 정규화한 소양강댐 코어존의 단위폭당 침투량(q)은 저수위 변화에 따른 코어존 침투영역의 형상()과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의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변수 과 는 각각 1.995와 0.4474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해석 결과는 Sakamoto(2000)의 근사식에 의한 예측치와도 잘 일치하여(그림 7) 소양강댐 수위변화에 따른 예측식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측식의 변수 과 는 재료의 불포화 투수계수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본 예측식을 타댐에 적용시에는 이점을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