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성장 동력으로서의 지하수 현황과 확보 방안 |
---|
학술지명 대한지질학회
저자 김규범
발표일 2009-10-29
|
천부 지하수의 수위 변화는 인간의 활동과 기후변화 및 함양작용 변화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고 있으나 각 요인이 끼치는 영향정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은 미흡하다. 국내의 경우에도 지하수위는 1996년 지하수 관측이 시작된 이후 지속적으로 하강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추세는 20년 후에 평균 약 60cm 이상이 하강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무변동이나 증가추세에서 감소추세로 돌아서는 지점이 다수 증가하고 있는 점은 유의해야할 사항이다. 지하수위 강하의 특징은 호우기와 갈수기 지하수위가 모두 감소하는 경우 또는 갈수기 지하수위만 감소하는 경우로 나타나고 있으나 후자의 경우가 보다 일반적인 감소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의 추세가 지속된다면, 20년 후의 지하수위 감소량은 약43.1억톤으로서 현재 연간 국내지하수 이용량보다 많은 수치에 해당한다. 다음과 같은 지하수 감소 지점의 주요 특징이 도출되었다. 지형경사가 급한 곳, 하천에서 먼 곳 및 삼림지역 면적이 큰 곳에서 지하수 감소가 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주 영향 요인으로는 비닐하우스이며 비닐하우스 면적이 클수록 지하수 감소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