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기간의 저수지 수질예측 연구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변창영,정선아,손병용,이혜숙
발표일 2009-03-27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현상이 심화되면서 강수량이 적은 봄철 시기의 적절한 저수지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하절기의 탁수현상이나 부영양화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뭄기간의 저수지 수질에 대한 연구는 한정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기간의 저수지 수질모델링을 수행하여 향후 발생 가능한 수질 문제를 예측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광동호로서 연구기간인 2009년 현재 20~30년 가뭄빈도의 유입량이 저수지로 유입되고 있으며 저수율이 20%에 이르는 극심한 가뭄상황을 나타내었다. 적용모델은 2차원 수리수질모델인 CE-QUAL-W2이며 2009년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10년 및 20년 가뭄빈도 유입시, 1995년 및 2005년 가뭄시의 유입량 조건을 시나리오로 설정하여 홍수기 이전인 6월까지의 수질변화를 예측하였다. 광동호로 유입하는 주요하천인 골지천의 평균 수질 농도가 가장 높았던 2008년의 실측 농도를 유입수질로 가정하여 저수지 내 수질을 예측한 결과 20년 가뭄빈도 유입시 5월 chl-a 평균농도가 7 ㎎/㎥으로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최대 11 ㎎/㎥ 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다. 모델링 결과 가뭄기간의 광동호 수질은 같은 시기의 평균농도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지만 저수지 운영에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낮은 저수율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일반 수질 항목 외에 추가적인 항목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