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금강 옥천지점에서의 총유사량 추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금강 옥천지점에서의 총유사량 추정
학술지명 한국생물과학협회 저자 이혜근,정선아,윤라영,박희영,김준호,신재기
발표일 2009-08-21

본 연구는 금강 권역의 옥천 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총유사량을 추정하고자 2009년 2월부터 5월까지 수행하였다. 총유사량 추정은 연구대상지역에서 측정된 부유사량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수정 아인슈타인 절차(MODEIN)에 의해 추정하는 절차로 실시 하였다. 그 결과 금강 옥천 지점은 미세한 세류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유역의 개간 등과 같이 교란된 곳이 많은 것으로 추정되며, 홍수기에 하류하천 혹은 댐에 탁수의 영향이 미칠 우려가 있어 유역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사량 곡선은 진폭이 크고 loop형식을 갖고 있지 않으며 이러한 현상은 유역의 형상과 하상경사, 강우의 형태, 유출 수문곡선의 형태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유량-부유사량의 곡선 분석 결과 옥천지점은 Qs=9.5086*Q^1.0212(R2=0.6644)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유량-총유사량의 곡선은 Qs=13.292*Q^1.0211(R2=0.7574)의 특성을 갖고 있다. 하천의 총유사량은 하상을 변화시킴으로 인하여 생태계는 물론이거니와 중요 하천 시설물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금강 옥천에서의 총유사량 추정은 연구대상 하천구역내의 수리구조물 설계 및 수자원계획,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총유사량 추정으로 인하여 금강의 수생태계에 유사량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