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한강 영춘 지점에서의 부유사량 관측과 총유사량 추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한강 영춘 지점에서의 부유사량 관측과 총유사량 추정
학술지명 한국생물과학협회 저자 신재기,이혜근,김준호,박희영,윤라영,이혜숙
발표일 2009-08-21

본 연구는 2008년 한강 권역 영춘 지점의 총유사량을 추정하기 위해 측정된 부유사량의 성과 분석과 함께 수정 아인슈타인 절차(MODEIN)에 의해 2009년 2월부터 5월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유사량 추정은 이론적으로 소류사와 부유사를 합산한 값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측정 장비의 특성으로 측정된 소류사와 부유사를 단순히 합산하지 않고 별도의 식을 이용하여 보정한다. 연구 방법은 소류사의 측정이 부유사 측정보다 어렵고 정확도도 낮기 때문에 부유사만 측정하고 하천의 부유사 농도, 하상토 입경분포, 수심 에너지 경사 등을 이용하여 총 유사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강 영춘 지점의 부유사량 특성은 입도가 0.062mm보다 작은 세류사가 많으며, 홍수기인 7월~9월 하류하천 혹은 댐의 탁수의 영향이 있으며, 유사량 곡선은 진폭이 작고 loop형식을 갖고 있다. 유량-부유사량의 곡선 분석 결과 영춘지점은 Qs=0.9417*Q^1.3379(R2=0.9507)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유량-총유사량의 곡선은 Qs=2.8903*Q^1.1946(R2=0.8227)의 특성을 갖고 있다. 하천의 유사조사는 하상 변동예측, 저수지 퇴사량 추정, 유사 유출량 추정, 기타 하도 계획과 설계를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경우에 꼭 필요한 연구성과라 판단 된다. 또한, 주요 하천지점에서 유량 조사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데 반해 산발적인 총유사량 추정은 보완해야 할 점이라 생각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