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수계 다목적댐 상류지역의 수질특성 |
---|
학술지명 한국생물과학협회
저자 남재훈,정선아,이혜숙,이승윤,신재기,이혜근
발표일 2009-08-21
|
금강수계 다목적댐 상류유역의 주요지점을 대상으로 유량과 수질조사를 통해 다목적댐 저수지의 유입하천에 대한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장마 전ㆍ후 유량변화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변화와 이에 따른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장마 전, 장마기 및 장마 후의 시기별 평균유량은 9.5, 22.1, 56.6m3/s로서 연중유량분포에서 시공간적으로 비교할 때 강수패턴에 의한 기후학적 영향이 가장 지배적임을 알 수 있었다. 장마 전의 최대 유량과 농도를 고려할 때, 장마기 유량은 0.0~2.2배로 증가하였고, 장마 후 유량은 0.0~8.2배로 증가하였다. 장마 전 수질오염도를 기준으로, 장마기에 Turbidity 0.0~6.3배, SS 0.0~5.3배, TP 0.0~1.6배 범위로 증가하였고, 장마 후에는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장마 전과 장마기의 수질오염도를 비교할 때, 장마기의 값이 장마 전의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Turbidity, SS, TP의 약 10%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강수에 의해 유입 부하량이 가중됨을 나타낸다. SS와 Turbidity는 장마 전과 비교하여 장마기에는 3.6배, 4.2배로 증가하였으며, 장마 후에는 1.7배, 2.4배로 증가하여 장마 후보다 장마기의 SS와 탁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금강수계는 매년 수질오염도가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