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수계 다목적댐 상류지역의 수질특성 |
---|
학술지명 한국생물과학협회
저자 신재기,이혜근,이승윤,정선아,이혜숙,남재훈
발표일 2009-08-21
|
본 연구는 한강수계 다목적댐 상류유역의 주요지점을 대상으로 유량측정과 수질조사를 통해 다목적댐 저수지의 유입하천에 대한 수질현황을 파악하고 계절별 유량변화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변화와 이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장마 전, 장마기, 장마 후의 시기별로 유량은 각각 14.1, 121.8, 399.9m3/s로서 연중 유량분포에서 강수패턴에 의한 기후학적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마 전을 기준으로 수질오염도는 장마기에 Turbidity 0.0~1.6배, SS 0.0~1.6배, Conductivity 0.0~1.2배, TP 0.0~1.6배로 증가하였고, 장마 후에는 각각 0.0~9.2배, 0.4~21.2배, 0.2~1.7배, 7.0~25.9배로 증가하여 강수에 의한 유입부하량의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SS와 Turbidity를 장마전과 비교한 결과, 장마기는 2.9배, 6.0배로 증가하였고, 장마 후에는 19.6배, 10.5배로 증가하여 장마기에는 Turbidity가, 장마 후에는 SS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도에 비하여 2008년도에는 판운지역의 TN이 2,208.8ug/L, 원통지역의 TP가 270.2ug/L로 크게 증가하였고, Chl-a는 달천과 내린천지역의 Chl-a는 각각 21.4ug/L, 38.6ug/L가 증가한 반면, 그 외 지점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