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분포형 유출모형의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 기법 개발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분포형 유출모형의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 기법 개발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박진혁,허영택,류경식,차기욱
발표일 2009-05-21

본 연구에서는 격자강우량과 GIS와 연계한 격자기반의 공간수문자료들을 모형의 입력매개변수
로 활용하고, 수계망을 통하여 유역 출구까지 운동파(kinematic wave)이론에 의해 유출량을 물리
적으로 추적해 나가는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DRUM(Kwater Distributed RUnoff
Model)을 개발하였고, 지표유출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지만 실제 관측 및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유역의 초기토양함수상태에 대한 자동보정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동보정기법을 이용하여 남강댐유역을 대상으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에서 사용
한 강우사상은 남강댐 유역에 큰 영향을 준 태풍 루사 (2002년 8월 31일 01시~9월1일 23시), 태
풍 매미 (2003년 9월 12일 01시~9월13일 23시), 2004년의 대류성강우 (2004년 7월14일 01시~7월
16일 10시) 및 태풍 에위니아 (2006년 7월 8일 18시~7월11일 12시)의 총 4개의 사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발한 유역의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기법에 의한 유출모의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
하여 모의에 사용된 매개변수 중 토지피복도에 의해 결정되는 조도계수와 토양도에 의해 결정되
는 유효토심, 흡인수두계수, 공극률 및 투수계수는 4개의 강우사상에서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설
정하였고, 유역내 토양 내부 수분함유량 산정을 위한 초기 기저유출량은 검토대상 기간 시점부에
서 관측된 유출량으로 설정하였다.
초기토양함수상태 자동보정기법 적용을 통한 유출해석의 정확도는 체적오차 백분율(VER)과 첨두
유량 오차 백분율(QER)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모형이 유출량에 대한 정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보정 기법을 적용한 결과, 초기토양조건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시
행착오법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과 유역내 토양 특성과 지형형상을 고려하지 않는 설정으로 인
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유출계산 결과도 유량의 크기와 첨두시간 모두
관측값과 비교적 잘 맞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