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하도추적모형의 수치적 불안정성 요인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하도추적모형의 수치적 불안정성 요인 분석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황의호,이근상,김영성,이을래
발표일 2009-05-22

최근 이상기후 및 국지정 돌발호우 등에 따라 댐방류 또는 하천유역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발
생하는 하류하천의 정확한 홍수예측능력의 향상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도 개념적으로 간단하고 계산의 용이함을 이유로 수문학적 모형이 하천유역에 적용되고 있으나,점차 댐하류 하천을 포함한 중, 소규모하천에서도 수리학적 하도추적모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리학적 하도추적모형에서 가장 큰 난제인 계산수행중의 발산의 영향에 따라 수리학
적 모형의 구축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며, 계산의 수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지형자료 및 입력자료의 보완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에서 사용되는 하천의
모형은 1차원모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2차원모형에 비해서 계산시간의 단축과 입력자료 구축
의 용이함이 가장 큰 이유가 될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리학적 하도추적 모형의 구축시 입
력자료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모형의 불안정성은 모형수행자에게는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학적 계산의 발산요인들을 검토해보고, 이를 최대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
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대청댐~용담댐까지의 대상구간을 설정하여 수리학적 하도
추적모형을 구축하고 실질적으로 계산의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인자들을 도출하였다. 추후 계속되
는 연구의 수행으로 좀 더 효율적인 결과도출을 유도할 예정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