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단계양수시험 해석시 우물상수 산정방법이 우물효율에 미치는 영향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단계양수시험 해석시 우물상수 산정방법이 우물효율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명 대한지질공학회 저자 김규범,정상용,김병우,권해우
발표일 2009-03-31

다공질매질에 굴착된 2개의 관정과 단열암반층에 굴착된 2개의 관정으로 부터 단계양수시험이 실시되었다. Jacob(1947)이 제시한 P = 2.0 값은 단계양수시험의 수위강하를 해석하기 위하여 다공질매질과 단열암반층에 모두 적용되고 있다. 단계양수시험 해석에 대한 선형 모델(Jacob’s graphic method)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형과 비선형 모델(Labadie and Helweg’s least-squares method)에서 산정된 우물상수(대수층손실상수(B), 우물손실상수(C) 및 우물손실지수(P))를 비교·분석하였다. 선형과 비선형 모델에서 산정된 C와 P값의 차이는 대수층의 투수성과 관정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즉, 다공질매질에서 비선형 모델로 산정된 C값은 선형 모델로 산정된 C값에 비해 약 100~10?02, 단열암반층에서는 약 10-03~10?06배 낮게 나타났다. 비선형 모델을 통해 산정된 다공질매질의 P값은 2.124~2.775, 단열암반층은 3.459~5.635의 범위로 산정되었으며, 이때 비선형 모델에서 우물손실은 P값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다. 선형과 비선형 모델을 통해 산정된 우물효율성의 차이는 다공질매질에서 1.56~14.89%, 단열암반층에서 8.73~24.71%를 보여 모델의 선택에 따라 상당한 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선형의 최소제곱법을 적용한 회귀분석 방법이 모든 대수층의 단계양수시험 해석에 있어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