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쇄설성 퇴적암으로 구성된 도서지역 내 지하수량 확보 곤란에 따른 원인 고찰 및 지하수이용량 확보 방안 제시 |
---|
학술지명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 서경수,김성윤,최두형,정재훈
발표일 2009-04-22
|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량의 계절적 편중의 심화는 가뭄, 특히 소규모 급수시설인 마을상수도에 의존하고 있는 읍, 면 단위의 주민들에게 생활의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마을상수도의 문제점은 관리의 부실, 수처리 시스템의 고비용 및 저효율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물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마을상수도의 체계적인 관리와 유지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마을상수도를 활용하고 있는 지자체 중 가뭄으로 인하여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곳이 도서지역이다. 도서지역은 지하수가 함양될 수 있는 부지 면적이 협소하고, 해수의 영향을 받기 쉬운 지역이므로 마을상수도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유지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한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현상을 겪고 있는 도서지역 내 지하수 관정의 상태를 분석하고, 추가 착정 지점을 조사하였으며, 기존 관정의 유지 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IT기술 등을 접목한 마을상수도 자동화 Total solution 시스템 구축 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마을상수도의 획기적인 개선이 가능하나, 지질 특성별 오염물질에 대한 수처리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