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 수질 자료의 통계분석을 통한 토질 이용별 경향분석 |
---|
학술지명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 윤필선,김춘식,김규범,최두형,서경수
발표일 2009-04-22
|
환경부는 1995년부터 지하수 수질의 관측을 목적으로 전국에 지하수 수질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분석항목은 pH, TCE, PCE, NO3-N, Cl-, Cd, Hg, Pb, Cr, As, CN, EC, 유기인, Phenol, 대장균, 일반세균, 1.1.1 TCE, Benzene, Toluen, Ethylbenzene, Xylene이지만, 지하수의 사용목적에 따라서 분석항목들이 달라진다. 지하수는 암석과 토양의 공극을 흐르기 때문에 토양과 암석의 성분에 영향을 받게 된다. 실제로, 지하수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토지이용과 지하수 분석항목간의 상관관계를 파악 할 수 있었다. 분석에 이용한 항목들은 TCE, PCE, pH, NO3-N, Cl-, 일반세균, COD이며, 토지이용 분류는 전용농업용수사용지역(S), 농산물주산단지(N), 오염우려하천지역(O), 공단지역(F), 일반폐기물매립지역(P), 지정폐기물매립지역(I), 금속광산지역(K), 분뇨처리장인근지역(B), 주민건강조사지역(J), 유원지 및 공원(U), 골프장지역(G), 도시주거지역(C), 저장탱크지역(T)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지이용에 따른 지하수 수질의 분석결과 TCE는 F지역과 C지역에서 다량 검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N지역의 pH 값이 다른 지역보다 약간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B지역의 pH는 다른 지역보다 약간 낮게 분포함을 파악할 수 있었고, J지역의 pH값이 넓게 분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NO3-N은 N, J, B지역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며, N지역과 U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지점에서 기준 초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l-는 농도가 높은 O, F, I, J, C, T지역과 농도가 낮은 S, N, P, K, U, G지역으로 이분되며, N, U, G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기준 초과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T, I, F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기준 초과 지점의 수가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OD값의 분포양상은 농도가 높은 O, F, I, J, C, T지역과 농도가 낮은 S, N, P, K, U, G지역으로 이분되어 진다. T, C, P, I지역에서 보이는 이상 값이 큼을 확인 할 수 있다. G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기준 초과되는 지역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일반세균 수는 N(농산물주산단지), O(오염우려하천지역), B(분뇨처리장인근지역)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농도가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K(금속광산지역)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서 기준 초과됨을 알 수 있다. 각 토지의 사용과 조사항목과 토지이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NO3-N은 토지를 농업용으로 사용하는 지역과 오수처리장 인근지역에서 농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TCE, PCE는 토지를 공업용으로 이용하는 지역에서 농도가 높고 기준 초과되는 지점도 많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