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관보호장치를 이용한 철 망간 제거 실험 |
---|
학술지명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저자 오인숙,김성윤,박준형
발표일 2009-04-17
|
강변여과수란 강변의 대수층에 양수정을 설치하여 취수하는 지하수로 표류수가 취수정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길게 하여 대수층을 통과하는 동안에 토양에 의한 흡착과 미생물에 의한 분해, 그리고 빛과 공기가 없는 상태에서 세균을 사멸하게 하여 양질의 원수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강변여과수는 계절별로 수질의 변동이 적고 홍수시나 갈수기에도 수량과 수질이 양호하다. 또한 돌발적인 수질오염 사고 등에 영향을 적게 받고 안정적인 원수 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철, 망간등은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강변여과수 도수 시 대수층의 환원환경조건에서 이온상태로 존재하던 철과 망간이 도수 과정에서 일부 산화상태가 되면서 발생되는 침전물에 의해 도수 관로 내 산화물을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내 실험의 목적은 강변여과수 취수 시 도수관로에 형성되는 철, 망간의 억제 및 제거를 위하여 배관보호장치 1과 배관보호장치 2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보고 실제 강변여과수 도수관로에 적용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하여 보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