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하천의 생태유량 산정 및 건강성 평가(Estimation and assessment of ecological flow and health in stream)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하천의 생태유량 산정 및 건강성 평가(Estimation and assessment of ecological flow and health in stream)
학술지명 2008 하천 환경 학술 심포지엄 저자 김정곤,허준욱,박상영,이종진
발표일 2008-10-01

본 연구에서는 금강상류 수계중 무주읍 오산리 지점을 선정 및 설정하여, 어류생태 모니터링을 통한 어류종별 서식환경 특성을 파악하고 DB화하여, 생태계에 필요한 생태유량 산정에 요구되는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하천의 구조와 수환경은 현장에서 광파기, 유속계 및 어류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하상의 구조, 하폭, 수심, 유속 및 어류자원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기초로하여 서식처 적합도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및 물리적 서식처 모의시스템(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으로 대상어종에 대한 가용(살 수 있는)서식처면적(가중된 가용면적, Weighed usable area; WUA)-유량 관계를 통해 서식에 필요한 최적 유량을 산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쉬리의 경우, 서식처 적합도 지수(HSI)는 유속이 0.1~0.3 m/s, 수심이 0.2~0.5 m이었으며, 피라미는 유속이 0.1~0.4 m/s, 수심이 0.3~0.4 m이었으며, 감돌고기는 유속이 0.2~0.3 m/s, 수심이 0.3~0.5 m로 나타났다.
   2. 본 지점에서의 대상어종에 대한 가용서식처면적(WUA)-유량관계로 쉬리는 유량 5.2 cms에서 47,495.9 m3/1,000 m로 나타났으며, 피라미는 유량 4.8 cms에서 36,957.1 m3/1,000 m로 나타났고, 감돌고기는 5.2 cms에서 40,154.5m3/1,000 m로 나타났다.
   3. 본 지점의 다변수건강성지수를 이용한 생태적건강성 점수는 평균 36점으로 “보통상태”를 나타내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