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장흥댐 어도 소상어종 변화 분석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장흥댐 어도 소상어종 변화 분석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서진원,임인수,김희성,김동섭
발표일 2009-03-27

2006년 완공된 장흥댐에는 댐건설에 따른 생물종 다양도 감소를 방지하고 상?하류간 어류의 이동을 위해 크레인(Hoist crane)식 어도가 설치(하천누가거리 27Km : 강진만)되었다. 어도 조사는 2006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총 3년(2006년 : 11회, 2007년 : 16회 2008년 : 5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모니터링 실시 전 집어통을 비운 후 당일 12시에 집어통을 집어수에 집어넣고 익일 12시에 집어통을 크레인으로 끌어올려 댐체어도 내로 유입된 종을 확인하였다. 2006년(11회)조사에서는 총 6과 18종 2,288개체가 댐체어도 내로 유입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2007년(16회)에는 총 6과 20종 9,600개체, 2008년(5회)에는 총 4과 10종 10,335개체가 유입한 것으로 확인되어 조사기간 내 총 7과 22종이 댐체어도 내로 유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2006년과 2007년도 조사에서는 피라미의 유입비율(2006년 : 72%, 2007년 : 82%)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2008년도 조사에서는 냉수성 어종인 빙어의 어도 내 유입비율(89%, 피라미 : 7%)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하천의 하상에 서식하는 저서성 어류의 유입비율 역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붕어, 참붕어, 돌고기 등과 같은 일부 잉어과 어종의 유입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도 조사 시 급격한 증가를 보인 빙어는 장흥댐 호 내에서도 높은 출현율을 보이는 종으로 홍수기 방류를 통해 댐 직하류로 유출된 종이 발전방류를 통해 방류되는 심층수의 낮은 온도에 적응하여 높은 유입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저서성 어종의 감소와 붕어, 참붕어 등과 같은 환경변화에 대한 내성이 비교적 강한 종의 유입감소는 댐건설에 의한 수환경 변화 영향 보다는 집어수 유속변화, 유인수로 유인효과 감소 등 시설물별 효과가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시설물별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