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북댐 건설지인 위천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
---|
학술지명 한국습지학회
저자 박석효,김희성,서진원
발표일 2009-02-03
|
우리나라는 몬순기후의 영향 및 국지적인 집중호우로 인하여 여름에 강우량이 집중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따라 효율적인 수자원의 관리를 위하여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댐들이 건설되어졌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하천에 있어서 댐(dam)이나 보(weir)와 같은 인위적인 구조물들은 하천의 상,하위를 구분 짓고, 자연하천(free flowing stream/river or lotic)의 호수(lacustrine or lentic)로 변형을 통해 유기물 및 영양염류의 유입 및 체류를 증가시키며, 이는 곧 수중 생태계에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특성 변화로 인해 수중생물들의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생물량 증,감소 및 생물상 변화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Naiman et al. 1986). 이에 미국 및 유럽내의 수많은 연구들은 건강한 수환경을 보전하고 복원하고자 꾸준한 생물모니터링(Biomonitoring)을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Schmitt and Dethloff, 2000). 그러므로 댐 건설 예정지에 대한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는 하천 및 호소생태계의 건강성 유지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고, 그 중 어류군집 변화유무 파악은 생물다양성 보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