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기 저수지 유입량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모형 개발 |
---|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정구열,류경식
발표일 2008-10-29
|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변화로 인해 게릴라성 집중호우와 같은 다양한 강우패턴이 발생되고 있으며 홍수기 저수지 유입량은 비록 동일 양의 강우가 발생한 경우라도 선행강우량, 무강우일수, 호우발생전 초기유입량 등과 같은 수문사상들로 인해 많은 차이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속함이 요하는 홍수기 저수지 운영시 신속한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과거 홍수기 댐 유입율과 유역 수문사상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강수계내 다목적 댐인 소양강, 충주 및 횡성댐의 과거 호우사상을 대상으로 유역내 각종 수문사상들을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홍수 이벤트 발생전 유역상황을 토대로 예상되는 강우에 따른 예상 유출율을 산정한다. 과거 호우사상에 대한 유출율 산정은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한 후 직접유출이 종료되는 시점까지의 유출량과 강우량의 비로서 산정하였으며 직접유출과 기저유출 분리방법은 주파수 분리방법을 이용하고자 한다. 주파수 분리방법은 최초로 Lyne 등(1979)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국내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4)과 이상진 등(207)에서 이 기법을 활용하여 유출량 자료로부터 지표수 유출량을 고주파 영역의 신호로, 지하수 유출량은 저주파수영역의 신호로 간주하여 유출성분을 분리하고 해당유역의 유출특성을 분석한 사례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