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M characteristics by the turbidity in-flow in lake Soyang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소학회
저자 최일환,정유진
발표일 2008-08-20
|
본 연구에서는 소양호 탁수 발생에 따른 NOM 유입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홍수기 동안 채수한 소양호 상류의 21개 지류 하천 시료에 대하여 LC-OCD를 이용하여 NOM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천별 Humic 물질의 기원 및 유입 특성을 분석하고, 탁도와 부유물질(SS), 탁도와 휴믹물질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HS-Diagram을 이용하여 소양호 탁수 발생시 유입되는 humic 물질의 기원을 분석한 결과 pedogenic Fulvic Acid로 확인되었다. 소양호 내 Humic 물질의 농도가 높은 것은 귀둔천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양강 탁수 발생에 따른 NOM 유출 특성, 특히 소양강 탁수 NOM의 분자량 크기에 따른 상세 분석 결과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인 분자량 대는∼1,000 g/mol의 Humic 물질로서 인북천 지류 지역은 50 %, 내린천 지류 지역은 66 %로 나타났다. 소양강 탁도는 인북천 지류의 한계천 985 NTU, 덕산천 198 NTU, 내린천 지류의 귀둔천 107 NTU, 가리산천 49 NTU 등으로 인북천 지류와 내린천 지류의 탁수가 유입됨을 확인하였다. 인북천 지역과 내린천 지역의 탁도와 SS는 매우 좋은 선형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나, 기울기는 매우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북천 지역에서의 기울기 a값은 약 0.92고, 내린천 지역에서 측정한 탁도-SS의 기울기는 약 0.72로 인북천 지역보다 작게 나타나 났다. 이는 인북천 지역의 입자의 크기가 내린천 지역보다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