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낙동강 하구둑 기수역 확보 방안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낙동강 하구둑 기수역 확보 방안 연구
학술지명 한국물환경학회 저자 이승윤,이혜근
발표일 2008-11-27

낙동강 하구둑의 수문 운영은 낙동강 하구둑 관리규정에 따라 운영되며 하구둑 상류로의 염분침투 방지를 위해 상하류 수위차가 0.2 m 이하일 때는 수문, 우안배수문, 갑문을 폐쇄한다. 하구둑 축조 후 이러한 하구둑 운영으로 인해 기존에 통수되던 해수가 차단되었고 수리수문학적, 경제적, 생태학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해수와 담수 수역의 분리로 인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이 단순해져 부분적인 복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구둑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수문운영을 통한 생태복원을 위해 기수역 확보와 어도 기능 대체라는 측면에서 통선갑문(소문) 개방으로 부분적인 생태복원이 가능한지를 조사하였다. 통선갑문(소문) 개방을 통한 염분도 변화 조사를 통하여 하구둑 상하류부에서의 기수역 형성효과를 확인하였고 통선갑문의 장기적인 개방이 낙동강 하구둑 상류 취수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의 염수침투를 허용하여 기수역 확보를 위한 수문운영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또한 통선갑문(소문) 개방을 통하여 하류에 지속적인 담수공급을 해 줌으로써 어류 유인효과의 증대와 차단된 하구둑 상하류의 수중생태계를 상시 소통시킬수 있는 방법론적 해결방안의 하나로 통선갑문을 Lock형 어도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를 통한 실질적인 생태계에의 효과는 현재 조사가 진행중이나 그 결과를 평가하기에는 조사 시기 및 빈도가 아직 부족하며 확대된 기수역 확보와 이를 통한 생태계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다학재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