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MASW 조사를 통한 사력댐 코어존 동적물성의 평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MASW 조사를 통한 사력댐 코어존 동적물성의 평가
학술지명 한국지반공학회 저자 이종욱,오병현,하익수
발표일 2008-10-10

  일본의 고베지진 이후 국내의 지진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지속되어 국가주요시설물에 대한 내진설계기준(건교부, 1997)이 제정되었으며 2001년에는 댐 설계기준(건교부)이 개정되었다. 국가주요시설물인 다목적댐은 제1종 시설물로 분류되어 5년 주기로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에 의해 정밀안전진단을 받으며 이때 지진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위해 내진성능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사력댐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는 사면안정해석에 의한 간편법과 동적해석에 의한 상세해석법으로 구분되며 다목적댐과 같은 내진특등급댐은 동적해석에 의한 상세해석법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 전단탄성계수와 같은 댐 축조재료의 동적물성이 가장 중요하게 된다. 전단탄성계수와 같은 동적물성은 건설 중에 진동삼축압축시험 등을 통해 조사되어야 하나 과거 국내의 내진설계기술 여건상 대부분의 경우 시행되지 못한 실정이었다. 현재 정적인 상태에서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기존 사력댐 제체의 동적물성을 비파괴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표면파 기법(MASW, SASW)이 많이 적용되어 왔으나 이 방법은 주로 수평지반에 대한 지반조사에 많이 활용되는 방법으로 최근의 연구(Marwin, 1993, 김동수, 2001)를 통해 경사지층에 기존의 층상구조 해석을 적용할 경우 왜곡된 결과를 도출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김형수 등(2005b)과 Min과 Kim(2006)은 은 3차원 탄성파 수치모델링을 통해 중심 코어형 구조를 갖는 사력댐은 측정심도가 깊어질수록 댐 외곽부 사력존의 영향과 댐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전단파 속도가 과대평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정밀안전진단시 사력댐 코어존에 실시한 7개댐의 전단파 속도 조사결과를 수집?분석하여 국내 사력댐 코어존의 구속압의 증가에 따른 전단파 속도분포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향후의 내진설계 및 정밀안전진단시의 해석자료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MASW 탐사에 의한 사력댐 코어존의 전단파 속도의 범위와 그 적용의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