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류 강변의 지하수 수온과 하천 수온의 관련성 고찰 |
---|
학술지명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저자 함세영,이상일,이수형,정재열,이정환,김형수
발표일 2008-10-09
|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수자원 공급을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산업 발전과 인구증가에 따라서 지표수 수질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양질의 수자원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하천 주변에 분포하는 강변충적층의 자연 정화 능력을 활용하여 하천수를 간접취수하는 강변여과수 취수방식이 낙동강 하류의 함안군, 차우언시 북면, 창원시 대산면, 김해시 생림면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다. 강변여과수는 큰 강 주변에서 개발됨으로서 하천구 취수의 단점인 수질적인 측면과 지하수 취수의 단점인 수량적인 측면을 상호 보완하여 양질의 다량의 수자원 확보가 가능하다. 그러나, 낙동강 유역의 강변여과수를 통한 대수층 활용과 합리적인 수량 ·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강변충적층에서의 하천수-지하수 상호 연계의 특성파악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하천수-지하수 물수지 분석, 오염물질의 이동경로 파악 및 지하수-하천수 유동 시스템 파악에 필수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