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리체계는 수질모델, 처리대안 시스템, 그리고 모델과 시스템 사용에 필요한 데이터 제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등이 연계된 체계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모델로 HSPF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저수지 모델로는 CE-QUAL-W2를 적용하였고 각 모델간 원활한 자료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저수지내 수질관리 기법으로 두가지 경우를 적용해 보았다. 하나의 시나리오는 조류차단막을 설치하고 이에 따른 수질변화를 모의하는 것이고, 다른하나는 조류제거선을 운영하면서 수질변화를 모의하였다. 취수탑 부근에 조류차단막을 설치하는 경우 하절기 chl-a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하절기 평균농도 기준으로 미설치 보다 2.562~2.988 ㎍/L 감소 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설치 지점 비교 결과 취수탑과 가까이 설치한 경우(sg. 111+114)가 멀리 설치한 경우(sg. 110+115)보다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모의되었다. 차단막의 깊이별 모의결과는 3m, 5m, 10m 설치할 경우를 비교하였는데, 수심 10m 까지 설치할 경우의 감소폭이 가장 컸다. 댐 앞 부근에 차단막을 설치하는 경우 댐 상류 약 1km 지점에 수심 3~10m로 설치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모의 결과는 취수탑 부근에 차단막을 설치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수심 10m 까지 설치할 경우의 감소폭이 가장 컸다.
2006년도 수질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류제거선을 운영할 경우 chl-a 농도 변화를 모의하였다. 조류제거선의 용량은 8,640 m3/day과 17,280 m3/day 로 설정하고 조류농도가 높은 9월 ~ 10월 사이에 운영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조류제거선을 댐앞지점에서 가동할 경우 저수지 수체가 워낙 크기 때문에 수질개선효과는 뚜렸하게 나타나지 않으나 조류제거선 운영으로 수질이 조금씩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류제거선을 운영하지 않을 경우에는 9월과 10월의 조류 평균농도는 8.457mg/m3 을 나타내나, 8,640 m3/day 처리용량의 조류제거선을 9월과 10월 두 달간 운영하면 8.371mg/m3로 개선되며, 17,280m3/day 처리용량의 조류제거선을 두 달간 운영하면 8.228mg/m3 로 약 2.7%의 chl-a농도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모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