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하천 서식지 구분를 위한 공간정보의 활용방안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하천 서식지 구분를 위한 공간정보의 활용방안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이현석,고덕구,이근상,황의호
발표일 2008-10-30

최근 환경생태학적 하천관리가 수자원분야의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하천구역에 분포하고 있는 동식물 들의 서식지를 발견하고 이를 보존하고자 하는 노력도 함께 뒤따르고 있다. 하천서식지는 동식물들이 생존하는 중요한 공간으로서 물리, 화학, 그리고 기후학적 특성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하천이라는 넓은 공간에서 하천서식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며,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공간정보의 활용이 매우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서식지중 어류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이 수심과 유속의 함수로 구분되는 Pool, Glide, Run, Eddy drop zone, Riffle 지역을 분류하기 위한 공간정보의 활용방안 및 적용사례를 소개하였다. 먼저 현재 시점의 서식지 구분을 위해 무인항공촬영을 실시하고 지상측량 자료를 이용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항공영상의 RGB 밴드 특성으로부터 Riffle 지역을 분류하는 기법을 비롯하여, Glide와 Pool의 효과적인 분류를 위한 적외선 영상의 활용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특히 공간정보의 활용성 검토를 위해 촬영 시점의 유속, 수온, 지형측량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어류분류를 위한 하천서식지 구분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무인항공촬영 및 지형측량, 그리고 수리학적 특성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RMA 2 모델에 의한 유속분포특성을 모의한 결과 현지조사한 서식지 분류 결과와 상당부분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영상의 분광특성 및 필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수심이 낮고 유속이 빠른 Riffle 지역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유속의 차이를 보이는 Pool과 Glide 지역에 대해 적외선 밴드를 활용함으로서 유속의 차이에 따른 수온변화 특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