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대류식 순환장치에 의한 저수지 수질관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대류식 순환장치에 의한 저수지 수질관리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이요상,이광만,이택훈
발표일 2008-08-21

  호소수의 인공순환은 호수의 성층현상을 파괴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호수의 수질 관리를 위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중반부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체의 인공순환을 위해서 기계적인 혼합장치, 수류, 공기방울등이 사용되며 다수의 호수에서 성층현상이 방지되거나 파괴되었던 사례가 다수 보고된 바 있다. 이 방법을 성공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심수층의 산소 농도가 증가하여 호기성 생물 및 화학적인 조건이 형성되거나 조류의 서식조건을 악화시킴으로서 녹조현상을 제어할 수도 있으나, 심수층의 암모니아 농도와 수온이 증가하여 부작용을 초래하여 냉수성 어류의 서식환경을 악화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순환 시설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심층의 영양염류가 표층으로 이동하거나, 식물성 플랑크톤의 서식 범위가 넓어지는 등의 부작용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질관리를 목적으로 인공순환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호소의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규모의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류식 순환장치란 호수수 수표면에 임펠러를 설치하고 하부에 연결관을 호소 하층부까지 연장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임펠러가 회전하면 연결관 내부의 물이 수표면 상부로 유출되고 빈 공간은 심층수가 올라와 보충하는 직접유동과, 연결관 외부에서 심층수가 수표면으로 상승되는 간접유동이 형성되는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호소수를 순환시키는 장치이다.
  국내댐에 처음으로 설치된 대류식 순환장치의 순환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가동하면서 두 지점에 대한조사를 실시하였다. 한 지점에서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9일후에 순환장치로부터 5m 떨어진 지점까지는 순환이 활발히 이루어 졌으며 수심방향으로는 3.5m 지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른 하나는 5m 떨어진 지점에서는 순환이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4m 지점까지는 순환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심방향으로는 4m 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두지점간 이러한 차이는 수심과 성층깊이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되나 향후에 지속적인 조사로 좀 더 확실한 평가를 추진하고자 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