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류식 순환장치에 의한 저수지 수질관리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이요상,이광만,이택훈
발표일 2008-08-21
|
호소수의 인공순환은 호수의 성층현상을 파괴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호수의 수질 관리를 위하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중반부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체의 인공순환을 위해서 기계적인 혼합장치, 수류, 공기방울등이 사용되며 다수의 호수에서 성층현상이 방지되거나 파괴되었던 사례가 다수 보고된 바 있다. 이 방법을 성공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심수층의 산소 농도가 증가하여 호기성 생물 및 화학적인 조건이 형성되거나 조류의 서식조건을 악화시킴으로서 녹조현상을 제어할 수도 있으나, 심수층의 암모니아 농도와 수온이 증가하여 부작용을 초래하여 냉수성 어류의 서식환경을 악화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순환 시설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심층의 영양염류가 표층으로 이동하거나, 식물성 플랑크톤의 서식 범위가 넓어지는 등의 부작용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질관리를 목적으로 인공순환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호소의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규모의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류식 순환장치란 호수수 수표면에 임펠러를 설치하고 하부에 연결관을 호소 하층부까지 연장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임펠러가 회전하면 연결관 내부의 물이 수표면 상부로 유출되고 빈 공간은 심층수가 올라와 보충하는 직접유동과, 연결관 외부에서 심층수가 수표면으로 상승되는 간접유동이 형성되는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호소수를 순환시키는 장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