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말 현재 우리나라 지하수자원은 생활용, 공업용, 농어업용, 기타 등을 포함하는 용도별
연간 총 이용량은 3,749 백만㎥/년이고, 지하수 개발 시설수는 총 1,304천 개소에 달한다. 또한 연
도별 지하수 이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지하수 시설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
다. 이 중 정호 심도가 40m 이내인 지하수 개발 시설수는 1006개로 총 시설수의 77.2%에 해당되
며, 정호의 구경은 74.4%가 50mm 이하의 소구경 정호들이다(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7).
이러한 통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국내 지하수 정호의 대표적인 특성은 심도가 얕고, 구경이 작아
서 저산출량 정호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정호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지하수 오염, 우물
내의 미생물 활동 그리고 대수층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인해 정호 막힘 현상(Clogging)
이 발생하여 지하수 채수량의 감소와 수질의 불량과 같은 문제점을 빈번히 발생시키고 있다. 정호
의 막힘 현상으로 인해 정호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경우 정호 청소 등과 같은 재개발
을 통해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하여야 하나 재개발 비용의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기 정호를
폐공하고 신규 정호를 개발하는 것이 현재의 정호관리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정
호 내부 상태 조사를 통해 정호의 막힘 현상을 평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호 막힘 제거 기
술 개발 및 실증 조사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호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고 그 기술을 적용하기
에 앞서 정호 내부 상태를 공내시경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험 조사공을 3개소 선정하
여 공내시경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정호의 상태를 면밀히 파악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제 현장에서
정호 개발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공내시경 조사를 통해 문제점의 원인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러
한 정호 상태의 평가를 통해 정호 세척과 같은 재개발 여부를 판단하고, 현장 시추작업 기술자에
게는 보다 효율적인 정호 개발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역가압식
관정 내부 슬러지 및 스크린 슬롯 오염물질 제거 기술을 개발하여 정호의 재개발 기술을 도모하
였다. 따라서 발전적인 정호 개발 기술과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정호 평가에 대한 세부 검토 항
목의 기준을 정하여 주기적인 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