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 유역 토지이용현황에 따른 유입하천 오염물질 유출특성 |
---|
학술지명 한국하천호수학회
저자 이윤경,이한진,김동섭,최광순,김세원
발표일 2008-04-10
|
시화호 유역은 토지이용현황에 따라 공단유역, 도시유역 그리고 농촌유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강우시 SS 유입농도는 내하천(농촌유역), 안산천(도시유역) 및 시화4간선수로(공단 유역)에서 각각 평균 47.7 mg/L, 11.5 mg/L, 19.9 mg/L로 나타났고, 강우시에는 각각 평균 85.0 mg/L, 55.4 mg/L, 74.3 mg/L로 나타나 강우시에 약 2~5배 이상 높은 농도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 TN , TP의 경우에는 반월3토구(공단유역)로 부터 강우시 각각 평균 41.9 mg/L, 31.0 mg/L, 4.120 mg/L로 농촌유역과 도시유역에 비해 높은 농도로 유입되어 시화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각 소유역별 유역특성에 따른 수위-유량 관계식을 도출한 결과, 내하천, 신길천, 시화4간선수로에서 각각 Q=250.68 H1.751(R2=0.98), Q=29.77H1.615(R2=0.98), Q=59.98H2.131(R2=0.98)로 나타났다. 내하천의 경우 수위가 0.5 m 상승시 유량이 약 100 CMS 이상 증가하여 시화호 유역 다른 유입하천과 비교할 경우 같은 수위 상승시 유량 증가량이 약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강우시 농촌유역으로부터 시화호로 유입되는 유입수량이 다른 소유역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소유역별 유역특성에 따른 SS, COD, TN, TP에 대한 초기세척효과(First flush effect) 분석결과 농촌, 도시 및 공단유역 모두에서 초기세척효과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6년 시화호 유역 유입하천별 BOD 및 COD 오염부하량 산정결과, 내하천에서 19,060 kg/day와 29,799 kg/day, 안산천에서 4,795 kg/day와 5,417 kg/day로 조사되었다. 시화1간선수로에서 산정한 TN 및 TP 오염부하량은 각각 1,493 kg/day와 3,463 kg/day로 조사되었다. 시화호는 목표수질(COD 기준 2ppm)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화호 유역 유입하천으로 부터 강우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각 유역 특성에 적합한 수질개선대책방안 마련과 체계적인 유역오염원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