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학술지명 한국생물과학협회 저자 황인서,이윤경,최광순,김세원,김동섭,이한진,허우명
발표일 2008-08-20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현상을 이해하고자 기수역내 7개 지점을 선정하여 2005년과 2006년 3월부터 11월까지 수질 및 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조사와 오염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화호 기수역의 영양염류와 엽록소 a (Chl-a) 및 유기물의 농도분포는 시공간적으로 변동이 컸으며, 전반적으로 염분성층이 강하게 형성되는 중류지점에서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 TN, TP, Chl-a 농도는 각각 1.2~11.0 ㎎ L-1, 0.056~2.992 ㎎ L-1, 1.3~942.9 ㎍ L-1으로 대부분 지점에서 부영양 또는 과영양 상태를 나타냈다. 또한 기수역의 부영양화지수(TSI) 61~86의 범위로 과영양호 수준을 보였으며, 중류지점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영양염류와 Chl.a 농도 사이의 상관분석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은 TN(r=0.31)보다 TP(r=0.65)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수역의 표층퇴적물내 COD 함량은 전 지점에서 중간오염의 수준을 보였지만, TN과 TP 함량은 중하류지점에서 오염이 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물 교환이 제한적인 시화호 상류 기수역의 부영양화 현상은 자연적인 기수역에 비해 강하게 형성된 염분성층에 의한 물의 정체현상 및 심층산소고갈 현상과 유역으로부터 많은 양의 인 유입과 퇴적물로부터 인 용출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