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이상기후로 인하여 남강댐 유역의 호우일수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집중호우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상황에서 남강댐 직하류 구간내에는 무제부 및 제내지 지대가 낮고 내수배제가 불량하여 상습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이 많아 홍수조절을 위한 남강댐운영에 제약사항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물리적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여 홍수피해 다발지역인 남강댐 하류유역(1185km2)에 적용해 봄으로서, 보다 과학적이고 유연한 홍수관리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기반기술을 확보하여 홍수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기여하고자 본 분포형 모형개발을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연구동향 및 분포형모형의 비교연구사례를 참고하였으며, 그 결과 비교적 간략한 이론이 적용되어 소스코드가 복잡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고 기능 확장성이 뛰어나며 국내 적용사례가 있는 KIMSTORM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모형(김성준, 1998)을 프로토타입으로 선정하였다. KIMSTORM 모형은 UNIX C++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자원공사의 KOWACO 홍수분석모형과 연계하기 위해서는 FORTRAN 기반의 모형으로의 변환이 필요하며, 기본모형의 이론에 따라 포팅을 완료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남강댐하류 유역에 대한 개선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며, 이를 위해서는 (1) 최근 분포형 강우유출모의에 침투과정에서 모의시 가장 많이 적용되는 Green&Ampt 이론 도입, (2) 하천흐름 계산시 하도의 단면형상 및 하도폭에 대한 적용성 검토, (3) 강우입력방법의 개선, (4) 토양?토지피복에 따른 매개변수 입력의 간소화, (5) 흐름방향도에 의한 흐름누적도 자동계산, (6) 남강댐 방류량을 연계한 홍수유출 모의를 반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개발로 인하여 (1) 호우시 유역의 전체적인 유출형태를 가시적으로 파악 (2) 홍수기 남강댐 방류로 인한 하도구간의 홍수량 파악 (3) 유역내 토지이용변화 등 인위적인 변화에 유출영향을 평가 등 유역의 시간적?공간적 수문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서 보다 과학적이고 유연한 홍수관리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기반기술을 확보하여 홍수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