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마을상수도를 이용한 급수인구는 전체 급수인구의 약 5%에 해당하는 250만명이다.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마을상수도의 80%는 수원을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다.
지하수를 상수로 이용함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일반세균에 의한 오염과 질산성질소에 의한 오염이다. 질산성질소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게 되면 청색증 등의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대다수의 마을상수도는 상수도 보급이 어려운 농어촌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농업에서의 질소비료의 사용은 지하수내의 질산성질소의 농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이 된다. 그러나 현재 마을상수도의 열악한 환경의 정수처리장치로는 질산성질소를 제거가 어려운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를 이용하는 마을상수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소규모 수처리 시스템 개발을 하고자 한다. 소규모 수처리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현재 21C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의 세부과제인 “지속가능한 지하수 개발 시스템 구축 및 상용화”를 함께 공동연구를 수행중인 연세대에서 개발된 염화아연으로 표면개질된 GAC을 이용하여 질산성질소 제거 컬럼테스트를 수행하여 질산성질소의 제거효율을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는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인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의 연구비지원(과제번호: 3-4-3)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