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비에 의한 재성형 이암 풍화토의 상태경계면 변화 |
---|
학술지명 한국지반공학회
저자 김기영,김재홍,이종욱,전제성
발표일 2008-03-28
|
한계상태 모델의 상태경계면은 정규압밀시료의 응력경로를 평균등가응력(pe')으로 정규화시켜 p'/pe' 와 q/pe' 평면상에 나타낸 Roscoe 곡면과 과압밀된 점토의 거동특성을 2 가지 상수인 g, h 로 표현하는 Hvorslev 면으로 이루어진다. Cam-Clay 이론이나, 수정 Cam-Clay 모델의 경우 항복면의 중심이 각각 0.368pc , 0.5pc 로 일정하다고 보는 반면, 한계상태 공간비(r)를 대상 토질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경우 소성변형률비(ψ)의 차이로 인하여 상태 경계면은 조금씩 변화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재성형된 이암풍화토를 이용하여 한계상태 이론의 공간비에 따른 항복면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였으며, 공간비가 작아질수록 항복면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더 볼록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비를 이용할 경우 토질특성을 고려한 좀 더 유연한 응력-변형거동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