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풍화된 변성암 사면의 안정대책 사례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풍화된 변성암 사면의 안정대책 사례
학술지명 한국지반공학회 저자 전제성,홍원표,박철숙,김재홍
발표일 2008-03-28

암반사면에 대한 해외의 연구는 Hoek & Bray를 중심으로 기존의 평사투영법, S.M.R 평가기법 외에 신뢰성 이론, 불연속면의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해석 기법등 매우 심화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사면안정 해석 및 대책에 대한 기술은 과거 30년 동안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외국의 선진기술이 다양하게 도입된 상태이다. 
   국내 사면절취에 대한 시방기준은 암반의 지질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인 구배만 적용하고 있어 시공 중 많은 사면파괴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 여러 연구기관 및 연구자에 의해 암석별 사면의 파괴양상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지질학적인 특성을 감안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다만, 국내 여러 기관에서 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Rating 기법이 제시되었으나 연구기관의 업무특성과 관련된 분야에 주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사유로 절취사면의 조사, 해석 및 대책은 Case By Case로 수립, 시행되고 있다. 
   절취사면의 안정성 분석을 위해 지표지질조사를 실시하여 광역지질 구조를 고찰하였으며, 사면에 발달한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측정해 절취사면과 불연속면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를 활용하는 평사투영법(Stereographic Projection Method)의 해석을 위해 사면안정 범용 프로그램인 DIPS를 활용하였다.
   안정성 평가의 기본요소인 내부마찰각은 절리면 직접 전단시험의 결과를 반영함이 원칙이나, 현장여건상 시험이 불가능하여 일반적으로 암반사면에서 보다 보수적으로 적용하는 30도로 가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시 조사대상 사면에 발달한 불연속면의 다양한 성인을 고려하여 단층, 절리로 구분하여 각 불연속면별 분석을 선 시행한 후 전체 불연속면 자료를 종합한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불안정 요소가 인지되는 경우 현장의 시공성, 안정성, 경제성을 감안한 최적의 안정대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