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전략환경평가 도입을 통한 생물 다양성 보전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전략환경평가 도입을 통한 생물 다양성 보전
학술지명 한국습지학회 저자 김철진,임인수,서진원
발표일 2008-01-31

댐 후보지 환경성 평가는 여러 후보지에 대한 사전 검토를 통해 보전의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후보 지역을 배제시키고 기술적?경제적?환경적?사회적 측면 모두에 타당하는 후보지를 선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류 외에도 식물상?식생, 육상곤충, 조류, 포유류, 양서?파충류, 저서동물 등의 동?식물상의 생태적 가치 지수화를 통해 각 후보지의 환경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한강유역 후보지의 생물군집을 이용한 환경성 평가 결과를 살펴 보면 어류 평가와 마찬가지로 각 생물군집의 생태적 가치 평가에서 항목별로 비교적 높은 등급으로 분류되어 수환경을 비롯한 전반적인 동?식물상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강유역 후보지의 경우는 어류 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군집의 가치평가에서도 낮은 등급을 받아 전반적인 환경성이 양호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낙동강 유역 후보지 N-2지점은 한강유역 후보지와 마찬가지로 각 항목별 가치평가에서 높은 등급을 받아 양호한 건강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N-1 지점은 어류를 이용한 평가에서 가장 높은 등급을 받았으나 기타 생물군집의 평가에서는 높은 등급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유역 후보지 P-1, P-2, 낙동강유역 후보지 K-1, K-2의 경우 저서동물, 곤충 생물군집에서 다소 높은 등급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그 외 생물군집의 평가는 낮게 나타나 각 생물군집별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생물군집의 생태적 가치 지수화를 이용한 평가결과 어류를 이용한 생태적 가치에서 최고 등급으로 분류된 4개 후보지(한강 : S-1, S-2, D-1, 낙동강 : N-1)는 어류 뿐만 아니라 각 생물군집별 평가에서도 전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부여 받아 댐 건설을 통한 수자원 개발의 측면보다는 각 생물군집별 보호종 및 경관의 보호 측면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환경성 평가에서 높은 등급을 받지 못한 G-1, G-2, P-1, P-2, K-1, K-2 등의 4개 후보지는  환경 보존의 측면보다는 수자원개발 측면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Ⅲ등급으로 평가된 6개 후보지역중에서도 각 생물군별로 최고 등급으로 평가받은 후보지가 있는 만큼 댐 건설 시 특정 생물군집 및 보호종의 보전을 위한 보전 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