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물 흐름 개선을 통한 시화호 갈대습지 수질정화효율 향상 연구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물 흐름 개선을 통한 시화호 갈대습지 수질정화효율 향상 연구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최광순,최동호,김세원,김동섭
발표일 2007-10-10

 인공습지는 인위적으로 바닥의 기질과 경사를 조정하고 수리학적 현상을 제어할 수 있고 수생식물과 다른 요소들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면적의 자연습지에 비하여 훨씬 효과적으로 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조성 이후 장기간 운영에 따른 습지의 환경변화에 따른 수질정화효율이 저하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 중 하나로 습지내 물의 흐름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고 다른 지역에서는 구역에서는 물 흐름이 없어 사수역이 발생하는 등 습지내의 불균등한 물 흐름분포를 들 수 있다. 인공습지 운영 시 습지내의 원활하지 못한 물 흐름은 입자성 물질들의 불균일한 퇴적이 일어나며 경사도가 바뀌어 일부지역의 수심이 낮아지고 유기성 오염물질의 퇴적으로 인해 혐기성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습지의 혐기성 환경은 유기물분해를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습지 바닥으로부터 인 용출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조성 초기에 비해 수질정화효율이 저하된 시화호 인공습지의 물 흐름 특성을 조사하고, 물 흐름 개선방안에 대한 검증실험을 통해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염료를 이용한 습지내 물흐름 분포를 조사한 결과 물 흐름은 습지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closed water에 비해 수로 및 open water로 치우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화호 인공습지의 물 흐름조사 결과 중앙수로로 치우쳤던 물 흐름을 개선하기 위하여 습지 하류부에 모래주머니와 나무판자를 이용하여 습지내의 물 흐름을 식생대로 유도한 후 수질정화효율을 비교분석하였다. 물 흐름 개선 공사 이후 물 흐름이 식생대로 유도되었고, 탁도는 평균 60% 이상, 유기물은 평균 30%의 개선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장기간 운영 중인 인공습지에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저해된 물 흐름 개선을 통해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 또는 향상시키기 위해서 주기적인 물 흐름 조사와 개선방안 수립의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