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 기수역 연구를 통한 석호관리 방안에 관한 제언 |
---|
학술지명 동해한 석호보존 및 관리방안 심포지움
저자 김동섭,권상용,허우명,김세원,최광순
발표일 2007-07-12
|
1996년 "수질개선종합대책"에 의거 각 기관별 다양한 수질개선사업의 추진으로 시화호의 수질이 현격히 개선되었으나, 상류 기수역에서는 매년 적조현상 등 수질악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따라서 시화호 기수역에 대한 수질환경조사 및 수질개선연구를 통해 시화호의 목표수질을 달성하고자 한다. 기수역 특성상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지점인 중류지점에서 COD와 Chl-a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수온 상승에 따른 조류의 과대증식으로 인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질소의 경우 상류지점에서 하류지점으로 갈수록 낮은 농도를 보였다. 시화호 기수역의 계절별수질오염도 평가결과 호소수질기준에 비추어 볼 때 여름과 가을철의 경우 Ⅲ~Ⅳ등급의 수질을 나타냈으며, 봄철의 경우 Ⅴ등급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시화호 기수역은 영양염류에 의한 오염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화호 기수역의 수질을 EPA에서 제시한 부영양화 판정기준과 비교평가시 TN, TP, Chl-a의 농도가 기준 값을 모두 초과하여 부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석호관리를 위해서는 해수와 담수가 혼재된 수역의 특성을 고려한 수질갠선방안 수립이 필요하며, 대상유역관리를 통한 오염원 저감이 무엇보다 중요할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