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시화호 인공습지의 물흐름 분포 및 입자성물질 퇴적 특성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시화호 인공습지의 물흐름 분포 및 입자성물질 퇴적 특성
학술지명 대한환경공학회 저자 박제철,최광순,최동호,조성주,오영택,김동섭,김세원
발표일 2007-04-18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리동력학적 특성과 입자성 물질의 침전특성을 살펴보기위해 물흐름조사 및 입자성물질의 퇴적율 측정을 실시하였다. 시화호 인공습지는 크게 3개의 습지(반월, 동화, 삼화)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는 각각의 하천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처리를 위해 조성되었다. 조사지역은 반월천고습지를 대표지역으로 선정 후 실시하였다. 로드아민 50WT Red를 사용하여 물흐름 실험을 수행한 결과 자유수면(open water)지역과 수로를 통한 물흐름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식물이 식재되어있는 폐쇄수역(close water)에서의 물흐름이 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월습지의 상부 및 하부 습지의 평균 수리학적체류시간(hydraulic retention time, HRT)은 각각 34.1hr, 74.6hr로 나타났으며 총 체류시간은 108.7hr(4.5day)이었다. 반면에, 침전율은 침전지(A지역)보다는 하류부의 open water지역(B, C, D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open water내에 축적 가능한 sediment양을 추정한 결과 20년 후 각 지역의 침전 깊이는 A:6.3㎝, B:8.3㎝, C:7.0㎝, D:9.5㎝로 나타났다. sediment trap 내의 유기물 축적량은 강우의 영향으로 1차 조사시기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지역보다 B, C, D지역에서의 축적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질소, 인 성분들은 하부습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인공습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물흐름 및 입자성 물질들의 퇴적 특성에 대해 시간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조사 및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