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PIV 적용시 물표면과 카메라 사이의 촬영각도에 따른 상관계수의 변화양상 분석 |
---|
학술지명 대한토목학회
저자 김영성,양재린
발표일 2007-10-11
|
일반적으로 LSPIV의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은 PIV와 거의 동일하나 LSPIV는 이의 적용이 주로 일반 하천 현장이기 때문에 PIV의 적용시와 같이 최적의 실험조건을 만들기가 힘들다. 따라서 LSPIV의 적용시에는 몇 가지 사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일반하천에서 대규모 흐름장의 해석을 하는 경우 정사투영에 의한 이미지 촬영이 불가능하므로 비정사투영에 의해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는데 이때 원근감에 의해 이미지가 왜곡되어 촬영되므로 이러한 왜곡을 제거하는 절차가 추가되며, 조명(illumination)과 입자뿌리기(seeding)의 경우, PIV 적용시에는 실내조건에서 최상의 조건으로 조정이 가능하나 LSPIV는 주어진 자연조건하에서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하천에서 LSPIV의 적용시에는 유속이나 유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구역이 촬영되는 이미지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카메라의 촬영각도나 카메라의 높이를 조정하게 된다. 카메라의 광축과 촬영되는 물표면과 직각을 이루는 것이 이미지의 왜곡으로 인한 영향을 줄일 수 있겠으나 현장에서는 불가피하므로 사각으로 촬영하게 된다. 이러한 사각으로 이미지 촬영시 유속산정을 위해 계산하는 상관계수장 (correlation field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