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용담댐 유역 오염부하량의 정량적 산정을 위한 HSPF 적용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용담댐 유역 오염부하량의 정량적 산정을 위한 HSPF 적용
학술지명 한국물환경학회 저자 이요상,박상영,이혜숙,정선아
발표일 2007-11-21

저수지 수질은 유역의 점 및 비점오염원의 유입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므로 수질관리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유량 및 수질의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인력, 비용 및 시간 등에 한계점이 있고 유역의 오염원은 넓은 면적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유역모델은 유출량 및 오염물질 부하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수질평가 및 예측을 위한 도구로 점차 확대 적용되고 있다.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 Fortran)은 1980년에 US EPA와 USGS에서 공동으로 개발된 유역의 수리 및 수질모델로, 토지이용이 혼재되어 있는 유역에 적합하며 미국 TMDL 산정을 위해 개발된 BASINS(Better Assessment Science Integrating point and Nonpoint Sources) 내에 포함되어 있다.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HSPF 모델을 적용하여 소유역별로 오염물질 발생 및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유량과 수질에 대한 모델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여 모델의 재현력을 확인하였으며, 소유역별 오염물질 발생량 및 유출부하량을 산정하여 유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점오염원 부하량은 금강본류 유역에서 BOD, TN, TP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위면적당 부하량은 진안천 유역에서 가장 밀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점오염원은 전체 부하량 및 단위면적당 부하량 모두 면적이 가장 큰 금강본류 유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유역의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출되는 비율은 진안천 유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소유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투수면적 비율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HSPF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소유역별 오염부하량 발생량 및 유출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유역관리를 위한 유역모델의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