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자연 그리고 사람 - 물로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겠습니다.
HOME성과논문실적

논문실적

대유역 유출모의를 위한 적정 용수량 산정 게시글의 제목, 학술지명, 저자, 발행일, 작성내용을 보여줌
대유역 유출모의를 위한 적정 용수량 산정
학술지명 한국수자원학회 저자 류경식,황만하,유양수
발표일 2007-05-11

통상적인 용수량 산정방법은 원단위법과 같은 간접적인 추정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산정방법은 유역의 용수수요량 측면만을 고려하여 산정된 것이기 때문에 사실적으로 유역내에서 이용되는 용수량과는 많은 차이를 발생한다. 특히 농업용수 이용량은 증발산량과 같은 기상상황과 침투량과 같은 유역상황을 비롯하여 농업수리시설물의 공급현황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존 산정결과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유역의 실사용량을 추정하기 위해 유역내 분산되어 있는 수리시설물별로부터 공급되어지고 있는 용수량과 하천유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유역관리모형에 반영할 수 있도록 수식화함으로서 보다 양질의 모의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가뭄년은 강수량이 적고 대기가 건조하여 상대적으로 증발량이 높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순물소모개념으로 산정된 농업용수 수요량은 상대적으로 평년에 비해 증가된다. 그러나 실제 이용량은 유역의 유출량 감소로 인해 필요수량을 충족시키지 못함으로서 평년 용수이용량보다 적은 용수가 이용될 것이다. 따라서 단순한 순물소모개념에서 산정된 용수량은 실제 이용량과는 많은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관리모델을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상황을 파악하여 실제 용수이용량을 추정하였다.
그림 1의 결과, 기존에 산정된 농업용수 수요량은 큰 가뭄이 발생했던 1988, 1992, 1996, 2001 및 2006년에 많은 수요량이 필요하였으나 실제 유역상황 및 기상상황을 반영하여 분석한 이용량은 가뭄이 발생했던 해는 평년의 이용량보다 적게 이용되었을 것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그림 2에 의하면 가뭄해의 용수량은 시설물의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평년 용수량보다 높게 나타났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