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하여 수집된 각종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적용할 유역과
저수지 수질모델의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각 시스템의 원활한 적용을 위해 데이터
베이스와 각 모델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각 요소간의 원활한 흐름이 이
루어지도록 수질관리체계를 완성하였다.
구성된 수질관리체계를 이용하여 시나리오에 따른 수질변화를 모의해 보았다. 적용한 시나리오
로는 유역의 점·비점오염원 제거에 따른 저수지 수질변화, 50년 또는 100년의 빈도강우 발생시 유
입수질의 변화 등이었다. 이중 유역의 점오염원 제거에 따른 저수지 수질변화는 저수지 댐앞지점
에서 COD가 3.5%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P는 15%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chl-a는
33.9%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탁수를 유발하는 강우사상으로 50년 빈도 및 100년 빈도 강우
를 적용하였으며, 각 빈도 강우시 용담호의 5개 지류에서 유입하는 탁수층의 위치는 약간의 차이
는 존재하지만 대부분 EL. 245~255m에 존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평가해 볼 때
본 시스템은 향후에 도입될 저수지 목표수질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평가되
었다.